변대용
본문
변 대 용
1972 부산출생
부산대학교 미술학과 조소전공 졸업 동대학원 졸업
현:부산대 박사수료
개인전 43회 및 다수의 단체전/콜라보레이션 참가
2021 영도 影島(영감) (아레아6/ 부산)
아이스크림을 찾아 떠난 여행 (구리아트홀/ 경기도)
곰곰이 보다 Bear`s Bear Hug (부산도서관/ 부산)
2020 White sculpture (갤러리 다온/ 서울)
나의 곰 (학생예술회관/ 부산)
<5월의 곰> 포항문화재단 기획 (포항철도숲길/ 포항)
삶의 방법 (하이헤이헬로우/ 서울)
꿈을 찾는 여정 (스페이스 나무/ 양산)
2019 내면풍경(이상원미술관/ 춘천)
꿈의 여정(코엑스 별마당 도서관/ 서울)
아이스크림을 옮기는 방법(복합문화예술공간 머지/ 부산)
내일 눈이 온대요 (비온후 책 전시공간 보다/ 부산)
고요하고 고요한(아트소향/ 부산)
유기견과 유기인(갤러리 창/부산)
2022 스포츠 × 아트 스테이션 (소마미술관/ 서울)
2021 상상바캉스 : 섬머 바이브(상상마당/ 부산)
미얀만의 봄(사랑농장/ 김해)
아트홀릭(서구문화회관/ 대구)
강아지 숲 아트프로젝트#01 (강아지숲/ 춘천)
공공예술 가림막프로젝트(행복주택 /부산)
2016 르네 초콜릿 & 변대용(커먼 그라운드 토이 리퍼블릭/ 서울)
2015 기빙 마이 하트 투 스누피 -스누피70주년(갤러리 롯데 잠실/ 서울. 부산광복)
아트필러4차 프로젝트 MCM. CJ E&M콜라보레이션 (MCM본사. 가로수길매장. 스토리온 채널)
2014 LOVE (지포뮤지엄/ 제주도)
2013 보네이도- 시원한 지구(롯데갤러리/ 서울 부산광복)
2011 압솔루트 아트 콜렉션- 로컬작가 선정 (예화랑/ 서울)
2011 하이트- 롯데 홈런: 희망을 쏘다(광복롯데갤러리, 영등포롯데갤러리/부산, 서울)
공공미술 및 마을미술
2021 우리동네미술(신촌예술터/ 경남 거제도)
2018 느림 (하동 악양/ 경남)
2018 갈매기의 꿈 (영도다리 / 부산)
2017 부네치아(장림/ 부산)
2016 감천문화마을(감천/ 부산)
레지던스
2016 비발디 파크레지던스3기 (강원도 / 홍천)
2014 캄보디아 국제레지던스 (캄보디아)
2013 뉴제로 아트 스페이스(미얀마)
2012- 2013 장흥아틀리에(경기도)
2007-2010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부산)
수상
2010 부산청년작가상 (부산예총)
2010 송은 미술 선정작가 (송은문화재단)
2010 퍼블릭아트 선정작가
2008 제19회 부산청년미술상 수상 (부산청년미술상 운영위원회)
2000 중앙미술대전 특선 (호암갤러리)
작품 소장처
에덴밸리 스키장. 흥국생명, 킴스아트필드 미술관, 포천아트밸리, 토마토 저축은행(서울본점), 아모레 퍼시픽 미술관. 메디시티(인어상), 강영호기념비(진주, 참조은산부인과), 메이크샵, 삼성공항철도역, 에디슨 참소리 박물관, 포항시립미술관, 거제마린 푸르지오 아파트, 동부산 롯데쇼핑몰, 포스코 아파트, 현대아이파크, 미술은행, MBC 방송국(서울), 라마다 호텔(부산)
“젊은 세대를 위로하거나 응원하는 메시지”
- 작가 인터뷰 중에서 -
북극곰 시리즈는 사람들의 삶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작업이에요. 점점 설 자리가 좁아지는 사람들, 그들에게 건네는 제 위로의 선물이 아이스크림이었고요. 최근 작인 ‘코스프레’ 시리즈의 경우, 살아남기 위해 애쓰는 지금의 20~30대 삶을 담으려 했죠. 전체적으로는 모든 작업이 점점 단순화되는 중이에요. 형태도 간결해지고, 설명적인 면도 많이 줄어들었고요.
귀여운 외형 안에 사회문제를 심어 둔 우화적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내적 부분도 점점 바뀌어서 지금은 많이 희석된 것 같아요. 아마 나이를 먹으면서 어린 시절의 콤플렉스가 극복되고, 점점 둥글어지지 않았나 싶어요. 저는